국내 최초 국가기술자격증 전문 사이트! - 올배움kisa


저작권지킴이

저작권지킴이 캠페인안내

고객센터

고객센터

메뉴 바로가기

쇼셜 바로가기

  • 유튜브-국가기술자격증TV
  • 올배움kisa 페이스북
  • 올배움kisa 인스타그램
  • kisa 블로그
  • 올배움kisa - 카카오톡 채널
  • 인터넷 원서접수 - 큐넷
  • 네이버카페-자격증 닷컴
  1. >
  2. 커뮤니티
  3. >
  4. 베스트 질문 답변

베스트 질문 답변

 
작성일 : 19-12-04 15:01
 
[상하수도기술사(조용덕)] 1105P 7장 34절 PER,1147p 7장 46절 잉여슬러지
1. morill index의 개념에서 추적자 90%와 10%란 말은 총 추적자 중 처음으로 10%가 관측되고 나서 나머지 90%가 유출되는 건가요? 아니면 90%가 유출되는 시간과 마지막 남은 10%가 유출되는 것을 말하나요? 
이에 따른 CFSTR이 1이상이며, PER은 1에 가깝다고 하는 것에 대한 추가 설명도 부탁드립니다. 

2. mass balance 측면에서 잉여슬러지발생량에 대해 유도할 때 VX를 그냥 없애는데 어떠한 과정에 의해 제거되는 건가요? 나누는 것도 아닌데 어떠한 원리에 의해 없애는 건지 추가 설명 부탁드립니다! 
Qw*Xw= VuX-VKdX
Qw*Xw=u-Kd

3. 슬러지 폐기량에 비래해서 세포가 성장한다고 되어 있는데 그럼 슬러지폐기량(잉여슬러지량)=슬러지 성장량= 세포 성장량 인가요 ?
S변화량(잉여슬러지량)= BOD제거량*산화분회되는 비율 + 활성오니의 내생호흡계수*활성오니량
이라고 책에 공식화 되어 있는데 잉여슬러지란 합성된 세포물질 중 내생호흡에 의해 산화되지 않은 세포물질을 잉여슬러지로 한다고 교재 1146p 개념에 나와있는데 왜 산화분해된 양과 내생호흡의 합에 의한 값을 더햐여 잉여슬러지량으로 하는 건가요? 설명 부탁드립니다. 


조용덕 19-12-05 09:55
 
안녕하십니까.
반갑습니다.

질문과 관련하여,
문1] morill index의 개념은 혼합정도를 나타내는 하나의 지수입니다. 그러니까 추적자 10%가 유출될 때와 90%가 유출될 때의 시간 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완전혼합(CFSTR)은 유입 즉시 혼합되므로 1 이상이 되겠죠, PFR은 유입 순서대로 유출되므로 당연히 1에 가깝다는 말입니다.
문2] 풀이 과정에서 누락된 부분이 있었네요.
Qw*Xw= VuX-VKdX
양변에 VX로 나누면,
Qw*Xw/VX=u-Kd
결론적으로,
Qw*Xw/VX=Y(Si-So)/VX-Kd
문3] 미생물의 성장이 정상상태일 경우를 가정하면,
슬러지 폐기량에 비래해서 세포가 성장한다는 이야기 입니다.
교재 1146p 개념의 그림에서,
유기물은 산화(이화작용)되어 에너지를 생성하고, 이 에너지로 동화작용을 하여 세포로 합성된다는 이야기 입니다. 합성된 세포의 일부는 잉여슬러지로 배출되고, 일부는 내생호흡 즉, 이화작용으로 분해됩니다. 그러니까 유기물 중 세포로 전환된 양이 잉여슬러지가 되며 산화된 것과 내생호흡에 의한 양은 더하는(+) 것이 아니라 제하는(-) 것 입니다.

감사합니다.
 

Total 4,117

번호 강좌명 제목
1987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100p 34번 (1)
1986 건축산업기사 급탕부하 및 보일러의 열기능력 (1)
1985 산림기사(권현준) 선묘 (1)
1984 건축산업기사 건축산업기사 질문 (1)
1983 자동차정비산업기사(임세순) 이전 질문 이서서 질문합니다 (1)
1982 건축산업기사 푸아송비에 관한 질문 (1)
1981 건축산업기사 가설공사의 종류 (1)
1980 무선설비기사(NEW) 1장 디지털 전자회로 27번 질문입니다. (1)
1979 자동차정비기사(임세순) 댐퍼클러치의 구조에 대한 질문 (1)
1978 화약취급기능사(이정훈) 질문이요 (1)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