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제가 OT에서도 말씀드렸지만 지난 합격생 중에 도움이 되실만한 두 분의 경우를 말씀드리겠습니다.
한 분은 중졸 학력으로 고등학교 수학을 배운 적이 없으신 분으로 당연히 공학용계산기는 사용해 보신 적도 없으셔서 사용법까지 일일이 가르쳐드렸었습니다. 이론보다는 기출문제를 반복수강하실 것을 권유드렸고 그분은 필기와 실기를 모두 한 번에 합격하셨지요. 물론 공부량이 엄청났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다른 한 분은 2019년에 합격하신 분인데 이 분도 강순철님과 비슷하게 50이 넘으신 나이에 피타고라스 정리가 무엇인지 가물가물하신 분도 역시 구조과목에서 과락을 어떻게 하면 면할 수 있는지 문의하셨고 아래와 같이 답변드렸으며 역시 필기와 실기를 한 번에 합격하셨습니다.
윗분들의 경우를 말씀드린 이유는 강순철님도 충분히 합격하실 수 있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미리 포기하지 마시고 정말 열심히 공부하시다 보면 조금씩 길이 보이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구체적으로 학습방법을 말씀드리면 구조는 무조건 40점, 과락을 면하는 것을 목표로 정하고 공부하시되, 지금부터 약 한 달의 시간이 있으니 계획을 잘 세우셔서 실천하시기 바랍니다.
먼저 구조의 이론을 수강하시되 풀이가 복잡하거나 어려운 내용이라고 생각되시면 과감하게 넘어가시기 바랍니다. 이론은 반복해서 수강하지 마시고 한 번만 수강하시면 됩니다. 기출문제는 2010년부터 최근 것까지 모두 반복해서 여러 번(최소 3번 이상) 수강하시기 바랍니다. 기출문제 풀이도 이론과 마찬가지로 풀이를 이해하는 것이 너무 어렵거나 복잡한 문제, 틀리라고 출제한 문제 등은 모두 넘어가셔도 좋습니다. 다만, 풀이가 비교적 간단한 문제들은 반드시 식도 이해하셔야 하고 암기까지 해주셔야 합니다. 또한 이론의 마지막 강의인 “건축구조의 새로운 출제경향”의 유인물을 잘 암기하셔서 시험에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구조과목도 다른 과목과 유사하게 기출문제에서 유사하게 또는 똑같이 출제되는 문제가 적어도 5~6문제는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만 모두 맞히고 다른 문제들을 하나의 번호로 찍으셔도 40점은 넉넉히 넘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론보다는 기출문제에 훨씬 많은 시간을 할애하셔서 학습하실 것을 권유드립니다. 자신감 잃지 마시고 힘들어도 꾹 참으셔서 합격의 영광을 누리시면 좋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열공하시고 좋은 결과가 있으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