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문제 6번에서 0,2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가장 핵심적인 내용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문제의 그림에서 왼쪽그림은 독립기초의 폭이 1,800으로 주어져 있으므로 단변의 입면도임을 알 수 있지요(왜냐하면 오른쪽 그림을 보시면 단변의 폭은 1,800이고 장변의 폭은 2,000으로 주어져 있기 때문이지요).
해설의 첫번째 그림(단변방향)에서 독립기초의 폭은 1.8이고 바로 밑의 2.1 = 1.8 + 2 x (0.15)로 계산된 것이고, 또 밑의 2.3은 문제에서 주어졌지만 계산해 보면 2.3 = 1.8 + 2 x (0.25)로 계산된 것입니다. 그리고 위에 있는 3.2 = 2.3 + 2 x 0.3 x 1.5로 계산된 것이지요(여기서 1.5는 기초의 깊이).
마찬가지로 장변방향도 폭은 2.0, 바로 밑의 2.3 = 2.0 + 2 x (0.15)로 계산된 것이고, 또 밑의 2.5 = 2.0 + 2 x (0.25)로 계산된 것입니다. 역시 위에 있는 3.4 = 2.5 + 2 x 0.3 x 1.5로 계산된 것이지요.
나머지 계산은 문제 8번의 내용과 거의 동일하니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리고 문제 7번도 이론은 거의 비슷한데 중복부위를 어떻게 계산하는지가 핵심이므로 이 부분만 잠깐 설명드리겠습니다.
터파기의 총길이를 산정할 때는 중심치수로 계산하게 됩니다. 해설의 '중복부위 확인'이라는 그림을 보시면 총길이를 모두 더하면 빗금친 부분 6군데가 중복해서 더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빗금친 부분 6군데를 모두 공제해야 하는데 빗금친 부분 한 개의 단변방향 길이는 오른쪽 그림의 잡석폭의 1/2임을 알 수 있지요. 그러므로 터파기량 계산에서 괄호안을 보시면 총길이에서 평균폭(=잡석폭)의 1/2에 6군데를 곱한 후 공제한 것입니다.
나머지 부분은 8번과 9번을 해설한 인강을 참고해 주세요.
그럼 오늘도 열공하시고 좋은 결과가 있으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