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일분류법
1) 제 1문자에서 200번체로 통과율 50%를 기준으로 조리토와 세립토를 구분한다음
5mm체 통과율 50%를 기준으로 자갈과 모래를 구분해줍니다.
2) 이렇게 분류된 자갈 또는 모래 안에는 적은양이라도 세립분(200체보다 작은 흙(점토 또는
실트))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세립분의 영향으로 조립토일지라도 세립토의 거동의 특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따라서 조립토의 흙이라고 해도 세립토의 양에 따라 세분화시켜 분류를 해줍니다.
이때 조립토에 있는 세립분이 5% 미만이면 구지 점토(c)와 실트(m)을 구분하지 아니하고
단순히 입도가 양호한지 불량한지만 구분해주며 세립분이 5~12% 사이에 있게되면 이중기호를
사용하고 세립분이 12%를 초과하는 경우에 점토(c)와 실트(m)을 구분해줍니다.
4) 이때 세립분이 12%을 초과하면서 소성지수(pi)가 7% 이상인 경우 점토(c)로 분류하고
세립분이 12%을 초과하면서 소성지수(pi)가 4%이하인 경우 실트(m)로 분류를 하게 됩니다.
5) 제1문자에서는 단지 조립토인지 세립토인지만 분류를 해서 세립토로 분류가 되었다면 이때
소성지수값이 7% 이상인지 4%이하인지에 따라 점토와 실트로 분류를 해주면 됩니다.
1문자에서 모래로 분류가 되었다면 조립토로 분류해주고 제2문자 분류를 해주면서 세립토
(200번체 통과량)의 양이 12% 이상이면 점토와 실트로 분류를 해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