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일반화학서에서 pH 구하는 법인
pH=pKa+log([HA-]/[HA])
이런 형태의 식, 핸더슨-하셀바흐 식으로 쓰는 것을 가지고 질문하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약산이나 완충용액 등에서 구할 수 있는 방법이지,
강산을 처리한 뒤에 이를 중화, 희석시킨 물질(흔히 말하는 물엿 등)에는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닙니다.
Ka값이 1에 가까운 물질에 이 식을 써서는 안됩니다.
액상당 pH 측정 실험에서는
그저 pH를 측정한 뒤,
물 안에 있는 [H+]의 양을 고려해서
C3V3=C1V1+C2V2
C : 수소이온농도, V: 용액 부피, 1 : 혼합 전 시료, 2 : 물, 3 : 혼합 후 시료
이런 식을 활용하는 것이 정석입니다.
다만, pH가 5 이하라면 pH가 7인 물을 섞어봐야
오차 범위가 5%를 벗어나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측정 값에 -1을 해서 원 시료의 pH로 근사하는 것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