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국가기술자격증 전문 사이트! - 올배움kisa


저작권지킴이

저작권지킴이 캠페인안내

고객센터

고객센터

메뉴 바로가기

쇼셜 바로가기

  • 유튜브-국가기술자격증TV
  • 올배움kisa 페이스북
  • 올배움kisa 인스타그램
  • kisa 블로그
  • 올배움kisa - 카카오톡 채널
  • 인터넷 원서접수 - 큐넷
  • 네이버카페-자격증 닷컴
  1. >
  2. 커뮤니티
  3. >
  4. 베스트 질문 답변

베스트 질문 답변

 
작성일 : 18-01-18 00:53
 
[콘크리트산업기사(김현우)] 과년도문제풀다 질문합니다
골재가 커지면 비표면적이 낮아지고 블리딩이 커지고 조립률이 커지나요???
굵은골자가 비표면적이 잔골재보다 낮다는것은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블리딩과 조립률은 자세히 개념을 이해하지못해서 어떤기준에따라 블리딩과 조립률이 작고 커지나요?

김현우 18-01-18 11:02
 
안녕하세요 ^&^
질문에 아는 범위내에서 답변을 드립니다. ~~~~~
첫째
비표면적 단위는 cm2/g 다시말해 1g중량에 대하여 골재가 차지하는 면적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1m3를 만들기위해서 1m3 상자안에 굵은골재를 채우는것과 잔골재(특히 세립분이 많은 잔골재)를 채우는 경우 굵은골재로만 상자안에 채울때의 골재 표면적 보다
잔골재로 채울때 표면적이 더 많아지게 됩니다.
실제 1m3 상자안에 1m3짜리 굵은골재 한개를 채우는 것 보다 0.0001m3의 잔골재 세립분을 1m3
상자안에 가득 채울 경우 잔골재쪽의 비표면적이 커집니다.
따라서 골재가 커지면 비표면적이 작아집니다.
비표면적이 작아지면 콘크리트 내부에서 골재 표면으로  달라붙는 물의 양이 줄어들겠죠
그리고 수화작용에 필요한 줄어든 단위수량 이외의 남는 물은 콘크리트 표면으로 블리딩 현상을
통해 올라옵니다.
따라서 잔골재 보다 굵은골재 사용이 많은경우 콘크리트 표면에 블리딩량이
많아지게 됩니다.

둘째
골재의 조립률은  체가름 시험을 통한 각체에 남는 골재의 중량합을 100으로 나누어 준것입니다
따라서 굵은골재가 잔골재보다는 각체에서 걸러지는 골재 입자가 우선적으로 크다고 할 수 있겠죠
따라서 골재 입자가 크니 잔골재보다는 굵은골재가 조립률이 당연히 커지는 것입니다.
결국 조립률이 크다는 것은 골재가 전체적으로 입자가 크다고 할 것입니다.
통상 굵은골재 조립률은 6~8 정도이며
잔골재는 2.3~3.1 정도의 범위를 갖고 있읍니다.
이상입니다.~~ 열심히 하시기 바랍니다. ^&^
 

Total 4,302

번호 강좌명 제목
992 품질경영산업기사(이정훈) 실기 풀이질문 (1)
991 콘크리트기사(김현우) 문제풀이에 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1)
990 품질경영기사(이정훈) 교재70페이지 142번 (1)
989 품질경영기사(이정훈) 70페이지 142번 (1)
988 품질경영기사(이정훈) 효율적인 공부방법 (1)
987 품질경영기사(이정훈) H0와 H1의 채택과 기각에 대해서 필기때 배웠던 부분과 조금 다른것이 있어… (1)
986 품질경영기사(이정훈) 확률구하기 (1)
985 산림기사(권현준) 경영학질문있습니다 (2)
984 산림기사(권현준) 계산문제 답안작성 관련 (1)
983 공조냉동기계기사(임종현) p24 38번 입니다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