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단 지금 수정된 책 파일을 가지고 있어서 제가 알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먼저 말씀드리겠습니다.
1. 10-페이지 공기 분자량 = 40*1+32*21+28*79/100에서 32가 어떻게 나왔는지요?
공기의 평균분자량계산입니다.
공기는 21% 산소와 79%질소로 구성되어있다고 봅니다.
실제는 다른 분자들도 있지만 상대적으로 미비하므로 계산상의 편의를 위해서 그렇게 합니다.
산소는 O2이며 산소의 원자량은 16입니다. 그런데 산소는 O2로만 존재합니다.(O3는 오존이구요)
해서 16*2 = 32가 됩니다.
질소 역시 N2로 존재하며 원자량이 14이므로 14*2 =28이 됩니다.
여기서 앞서 말한 존재하는 비율을 각각 곱해줘서 더하면 됩니다.
즉, 32*21/100 + 28*79/200 = 약 29가 됩니다.
2. 17-페이지 v1= 식 전혀 무슨 말인지 모르겠내요 자세히 부탁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V1은 반응속도를 말합니다. 부피의 V가 아니라 속도(velocity)를 의미합니다.
1과 2는 정반응과 역반응에 대한 의미로 각각 하첨자를 붙여준 것입니다.
4. 121-페이지 문제3에서 풀이 *200 이 어떻게 나왔는지요?
100 ml와 100ml 를 섞었으니깐 200 ml입니다.
5. 126-페이지에서 +273 어떻게 나왔는지요?
아마 절대온도에 대한 부분인 것 같습니다.
절대온도는 우리가 아무리 온도를 낮추려해도 영하273도까지 만 낮출 수 있습니다.
열역학적으로 이론으로 완성이 된 값입니다.
해서 이를 0 으로 보는 것이 절대온도단위이며, 주로 K (Kelvin)단위계를 씁니다.
해서 섭씨 온도가 주어지면 거기에 273을 더해서 절대온도로 계산을 하는 것입니다.
6.131-페이지에서 문제 42번 자세히 풀이 부탁합니다.
유지 1mol을 비누화 하는데 필요한 NaOH 무게는?
(단, 반응식은 (R-COO)3C3H5 + 3NaOH → 3RCOONa + C3H5(OH)3이고 NaOH분자량은 40이다.)
이 문제인지요..
이 문제라면 쉽게 풀 수 있고 다른 부분에서도 적용이 많이 됩니다.
aA + bB --> cC + dD 라는 반응식에서 물질 A, B, C, D 앞에 있는 a,b,c,d는 반응계수라고하고
몰수의 비를 말해줍니다. 기체인 경우에는 부피의 비도 됩니다.
해서 1몰의 유지가 반응하는데는 3몰의 NaOH가 필요하다는 말이되고
그렇게 되면 3몰의 RCOONa와 1몰의 C3H5(OH)3가 생성된다는 말입니다.
즉, 1몰의 유지가 반응하는데 3몰의 NaOH가 필요한 것으로 사실 문제의 답은 나왔습니다.
그런데 몰의 의미는 분자량과 연관을 시켜야 합니다.
산소의 경우, 분자량이 32입니다. 이 말은 32g의 산소가 1몰이라는 의미입니다.
질소의 경우는 분자량이 28이므로 28g의 질소가 1몰이라는 의미가 됩니다.
해서 3몰의 NaOH의 경우, 40g의 NaOH가 1몰이므로 3몰인 경우에는 3*40 = 120g이 되는 것입니다.
7. 132-페이지에서 전이원소는 착이온을 만드는 경향이 없다에서 착이온 정의?
정의는 교재를 보시거나 검색을 해보시면 훨씬 더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듯 합니다만..아뭏든
착이온은 copmplex ion입니다. 금속양이온에 다른 분자들이 결합된 형태를 말합니다.
8. 154 석영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석영 정의 는요?
석영은 말그대로 석영이지요..SiO2를 기본으로한 유리같은 것입니다.
9.154-페이지에서 126번 문제 0.5F, 2.8 이 어떻게 나왔는지요?
1F로 변하는 물질의 양에 대한 부분입니다.
산소에 대한 부분같습니다만..1F로 변하는 산소의 부피는 5.6리터입니다.
0.5F라면 당연히 5.6*0.5 = 2.8리터가 됩니다.
10.157-페이지에서 98 어떻게 나왔는지요?
11.158-페이지에서 71 어떻게 나왔는지요?
12.158-페이지에서 문제 133번에서 0.1 어떻게 나왔는지요?
규정농도(N농도)에 관한 문제인 것같습니다.
오타입니다. 규정농도 = 비중*1,000/ 1g당량 *%농도/100 으로 구합니다.
해서 20%염산(분자량 36.5) 비중 1.1 은
1.1*1000*0.2/36.5 = 약 6으로 나옵니다.
13. 158-페이지에서 150 어떻게 나왔는지요?
용액 = 용질 + 용매 입니다. 해서 용매 100 + 용질 50 = 150 이 됩니다.
전반적으로 그냥 이해없이 문제를 푸실려고 하는 경향이 보입니다.
화학에 대한 기본이 다소 부족하지만 좀 더 시간을 두시고
문제에 나오는 정의부분을 한 번 더 숙지하고 푸시면 더 좋을 듯 합니다.
그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