② 수중의 탄산, 황산 등의 산을 중화하는데 필요로 하는 알칼리~~ 정의한다. 이 정의가 알칼리도의 정의가 아닌가요?? 산도의 정의를 물이 산을 포함하는 정도, 알칼리를 중화하는 정도로 인터넷이나 다른 자료에 언급되는대 지금 교재에 언급된 내용이랑 상반되어 헷갈리네요 명확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조용덕25-01-31 17:47
안녕하십니까
반갑습니다.
산도, 알칼리도와 관련하여,
두 용어는 반대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산은 알칼리로 중화하고,
알칼리는 산으로 중화하는데 소모된 산, 알칼리의 양을 CaCO3로 환산한 값입니다.
지시약의 색도에 따라 P-, M- 산도, P-, M- 알칼리도로 구분합니다.
예를 들면, 조류의 발생으로 산성을 띠는 CO2 를 소모함으로 pH는 증가한다. 알칼리도 증가
수중의 질소화합물은 질산화 미생물에 의해 질산화로 pH는 저하한다. 산도 증가
결과적으로 수처리의 응결, 세탁, 부식성, 연수화, 생물의 적응성 등의 판단에 활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