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드라우트법은 전체 임분 재적을 구할 때 표준목재적을 곱하는데
우리히법과 하르티그법은 표준목재적의합을 곱합니다.
이 둘의 차이를 모르겠습니다.
2. 각 임분의 계급을 나누어 우리히법은 본수를 같게해서 분류하고 하리티그법은 흉고단면적의 합을 기준으로 본수를 분류한다는 것은 이해했습니다.
이 때 구분된 계급으로 각 계급의 표준목을 선정하는 과정과 표준목의 재적, 흉고단면적을 구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그리고
표준목법을 실행하는 이유가 표준지의 m/ha을 구해서 전체 임분의 그루수를 곱해 전체 임분의 재적을 구하기 위해서인가요?
3. 지위지수를 구하는 문제에서 (277p 03번)
계산시에 지위지수 8, 10을 구하고 비교해서 답을 도출하는데
12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가 있나요?
어떤 문제는 맨 뒤에서 두 개를 사용하고 이번 문제는 중간 2개를 비교하는데
정확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 299p 14번에 하르티그법에 대한 설명에서 '각 계급의 흉고단면적을 동일하게 하고 임목의 그루수가 같은 계급을 나누어'
이렇게 되어있는데 이건 우리히법에만 적용하는거 아닌가요?